Bible Study/구약 성서

"목회지도력을 위한 예언서의 제안"(이형원_2000)

진실과열정 2007. 12. 12. 15:46
 

이형원, “목회 지도력 향상을 위한 구약성서 예언서의 제안”, 복음과 실천 27집 (대전: 2000 가을), 13-34.



1. 서론

    - 자료: 히브리 성서의 전기 예언서, 후기 예언서

    - 예언자와 목회자는 대립의 개념이 아니라 같은 목표와 심정을 가진 지도자이다.



2. 본론

  1) 신앙 공동체의 구원을 위해 소명 받았다는 확신

    - 모세(출 3:10), 여호수아(수 1:1-2), 기드온(삿 6:14), 아모스(암 7:14-15), 예레미야(렘 1:4-5)

    - 백성들도 지도자들의 소명을 기대한다.


  2) 선포할 하나님의 말씀을 가졌다.

    - 어원적으로 예언자는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하기 위해 부름 받은 사람이다(신 18:18; 렘 1:9): “야웨께서 내게 말씀하시되...” “나 야웨가 말하노라”

    - 미래적 제시보다는 현재를 바로 잡는데 목적이 있다: 실존적 문제들에 해결점을 제공. 예언의 순수성이 없어지면 안 된다(미 3:5-6).

    - 미가서의 거짓 예언자나 말라기서의 무능력한 예언자가 되어서는 안 된다.


  3) 신앙 공동체를 위한 ‘대안적 영상(alternative vision)’을 제공함

    - 야웨의 성품이 들어있는 대안적 공동체의 제시와 건설을 촉구함.

    - 모세; 아모스(암 5:24); 미가(미 4:3); 에스겔(겔 37); 이사야(사 40-55)

    - 신앙 공동체의 명확한 판단과 대안적 공동체 제시


  4) 백성들을 향한 거룩한 감정(divine pathos)을 가지다.

    - 에스겔 34장의 선한 목자의 비유; 하나님의 마음을 품을 수 있는 예언자

    - 백성들의 어려운 현실에 대한 동질감(예레미야[렘 40:1-6])


  5) 시대를 바로 읽을 수 있는 통찰력

    - 8세기에서 6세기까지의 급변하는 시대정세에 올바른 인식/관점을 가졌다.


  6) 도덕적 청결함

    - 성적 유혹(민 12; 삿 16; 렘 23:9-15)과 명예욕(삿 9), 그리고 물질욕에서 멀어짐(삼상 12:3-4; 미 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