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ble Study/구약 성서

"구약성서의 신학적 전통들"(이형원 교수_2000)

진실과열정 2007. 12. 12. 15:00
 

이형원, “구약성서에 나타나는 신학적 전통들이 현대 목회자들에게 주는 교훈”, 복음과 실천 25집 (대전: 2000 봄), 45-78.


사제들, 예언자들, 현인들


1. 구약성경에 나타나는 다양한 신학적 전통들의 기원

    -전통: 외적 행위를 포함해서, 기초가 되는 내적 사상과 가치관까지도 포함하는 개념.

    -기원: 시내산 경험과 오경

  1) 사제적 전통: 성막(출 25-40), 제사와 절기(레위기, 민 7-9, 28-30), 우상숭배 경계(신 12-18)

  2) 예언자적 전통: 법전을 기반으로 한 공평과 평등한 사회 제시(출 20-23; 레 17-26; 신 12-26)

  3) 현인적 전통: 하나님의 창조(창 1-11)와 주관(출 7-12), 삶의 결정(신 30)

    -이들은 상호 교류하며 창조적인 비판으로 함께 했다(렘 18:18; 겔 7:26).

    -학교의 설립에 대해서(퍼듀, 맥캐인, 갓월드)


2. 구약성경에 나타나는 다양한 신학적 전통들

  1) 사제적 전통

    - 시내산에서 사제들의 필요성이 대두(출 28:1-3; 레 8-10; 민 3, 18; 신 18)

    - 아론계열은 후에 예루살렘의 사독계열이 되어 다윗 왕국의 공식 사제전통을 이끌게 되고, 레위족속은 처음에 아론을 돕다가 후에 사제가 되지만 아비아달 이후 몰락하게 된다. 이는 에스겔의 시대에 극에 달하게 된다.

    - 하나님의 백성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가르치는 사역: 신 33:8-11; 말 2:7

    - 의식의 거룩함, 재판의 판결, 십계명의 재해석, 구원사의 가르침, 실제적 지침(우림과 둠밈)

    - 가장 중요한 것이라면, 예루살렘을 중심으로 한 제사와 절기 진행

    - 사세적 전통: 역대기적 역사서, 시편을 중심으로; ① 제사를 통한 예배공동체를 만듦; ② 질서있는 예배(출 25-40; 레 9[나답과 아비후])와 함께 사제들의 권위 부여(민 17[아론의 지팡이]; 왕하 11[여호야다 중심의 요아스 옹립]); ③ 예루살렘 성전의 중요성: 삶의 중심(대하 7; 신 12:5); ④ 율법의 철저한 준수(느 8-9[에스라의 정기적 금식 선포]); ⑤ 하나님의 구원사 강조: 하나님은 구원자이다-출애굽(출 20; 신 5; 시 78, 135, 136)

    - 어떻게: 축복과 저주의 원리, 인과응보 사상을 통해서(신 30:15-20; 역대기적 역사); 이는 후에 현인 전통의 비판을 받는다


  2) 예언자적 전통

    - 다양한 기원: 선견자(삼상 9:7-8), 예언자(nabi), 하나님의 사람(삼상 9:6; 왕상 12:22; 렘 35:34), 야웨의 종(왕상 14:18; 18:36; 왕하 9:7)처럼 다양했고, 카리스마적인 은사가 있었다.

    - 고대근동의 기원? 가나안 토착민의 황홀경적 경험(횔셔); 사울의 황홀경(삼상 10:5-13)은 권장 사항은 아니다(신 13; 왕상 18). 이스라엘의 독자적 예언운동!

    - 자료로는, 신명기적 역사서, 후기 예언서, 역대기적 역사, 오경의 예언자적 인물들

    - 예언자들도 지도층이 되어서 사제층과 교류했을 것이다(사무엘, 예레미야, 에스겔, 요엘, 하박국).

    - 예언자적 전통: 사제 전통과 유사(순종-복, 구원의 역사); ① 절기보다는 윤리적 삶(공의와 인자)의 실천 강조(사 1; 암 5:21-24); ② 법전 정신의 구현(성결법전, 신명기법전, 계약법전); ③ 선민사상 지적과 종말관(암 5:18-20; 습 1:14-18; 사 49:6-7; 미 6:8); ④ 구원사의 현재진행형: 활동하시는 하나님; ⑤ 세계화(이사야, 예레미야, 에스겔, 아모스); ⑥ 메시야 사상: 신정적이며 이상적인 사회 소망(사 11:1-9; 61:1-3)

    - 후에 묵시가로 활동함(사 60-66; 슥 9-14; 단 7-12): 악의 세력의 만연, 메시야의 도래로 악의 세력 소멸, 순교자적 각오와 인내 요구, 상급의 소망


  3) 현인적 전통

    - 자료: 잠언, 전도서, 욥기

    - 초기에 가족 지혜에서 점차 왕정 체제 하에 활동함(왕궁내 학교)

    - 현인적 전통: ① 예언자적 관점에서 사제들의 견해 보완(전 5:1-7[예배의 비평가이자 예배 문화 창조자]); ② 다소 독특한 신관: 온 세계의 창조주 하나님-자연을 통해 하나님을 경험하라; ③ 창조에 근거한 공의 사상(잠 24:1-12; 전 11:9; 12:14); ④ 신뢰받는 인간관-책임지는 존재(잠 2:21-22; 3:1-10; 전 2:24-26); ⑤ 실제적 삶-“신앙적 처세술” ⑥ 하나님의 자유 선언(잠 16:1-4,9; 전 3:11; 욥)


3. 구약성경에 나타나는 신학적 전통들의 현대목회적 적용

  1) 종합적 지식의 습득 필요: 전적인 하나님이 이해, 전인적인 그리스도인 육성

  2) 다른 전통들에 대한 개방성:

  3) 배운 것에 제한되지 않는 초월적 영적 사역의 도전(말씀의 현재화, 실재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