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수사학적 접근 6

논문: 시드기야 왕의 노예해방 번복에 대한 예레미야의 신학연구[part VI]

Ⅴ. 시드기야의 해방선언과 번복에 대한 예레미야의 신탁 이 장에서는 예레미야의 신탁을 수사학적으로 분석한다.1) 왜냐하면 “히브리 성서는 본래 수사적(oratorical)”인 방법으로 설득하는 의사소통 장치이기 때문이다.2) 그렇기 때문에 트리블(P. Trible)은 수사학적 분석을 “설득의 미학(art of persuasio..

논문: 시드기야 왕의 노예해방 번복에 대한 예레미야의 신학연구[part V]

Ⅳ. 시드기야의 해방선언과 번복 이 장에서는 시드기야의 해방선언과 번복 사건의 배경과 그 의미를 조사한다. 앞 장에서 다루었던 사회․정치적인 상황을 배경으로 시드기야가 노예해방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설명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며, 해방을 선언하면서 실행했던 제의의 방식..

논문: 시드기야 왕의 노예해방 번복에 대한 예레미야의 신학연구[part IV]

Ⅲ. B.C.E. 7세기 유다 이번 장에서는 B.C.E. 7세기 유다 사회를 재구성함으로써 시드기야의 해방선언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의미를 입체적으로 파악하려고 한다. 이 작업은 일종의 역사서술이며, 역사를 서술하는 면에 있어서 기존의 업적들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1) 그러나 기존의 역사 서술만으로는 고..

논문: 시드기야 왕의 노예해방 번복에 대한 예레미야의 신탁연구[part III]

Ⅱ. 고대근동의 해방법 이 장에서는 고대 이스라엘을 포함한 고대근동의 해방법에 대하여 다루도록 한다. 구약의 율법을 다룸에 있어서 고대근동의 연관성을 조사하는 것에 대해서 이견이 있을지 모른다. 그러나 야웨 하나님이 그의 주권으로 이스라엘 백성들과 세웠다는 독특성에도 불구하고, 구약..

논문: 시드기야 왕의 노예해방 번복에 대한 예레미야의 신학연구[part II]

I. 서론 1. 연구목적 본 논문은 렘 34:8-22에서 언급하는 시드기야 왕의 노예해방 선언과 번복 사건에 대한 예레미야의 신탁을 사회-수사학적 접근(socio-rhetorical approach)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에 의하면, 시드기야 왕(이후 시드기야)은 예루살렘에 있는 고관들과 모든 백성들이 히브리 남..

논문: 시드기야 왕의 노예해방 번복에 대한 예레미야의 신학연구[part I]

시드기야 왕의 노예해방 번복에 대한 예레미야의 신학연구 침례신학대학교 대학원 신학 전공 양 지 웅 목차 Ⅰ. 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방법 Ⅱ. 고대근동의 해방법 1. 메소포타미아의 해방법 1) 수메르와 고대 바벨론의 해방법 2) 신앗수르의 해방법 3) 정리: 메소포타미아의 해방법 2. 고대 이스라엘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