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가복음 11

[2008-2] 마가복음 세미나(7th): Edwin K. Broadhead(1999)

마가복음 세미나(2008.10.28) 담당교수: 김광수 교수 발표자: 양지웅(Ph.D., 구약학 2학기) Edwin K. Broadhead, Naming Jesus: Titular Christology in Mark(1999), 109-75. ※저자인 Edwin K. Broadhead 박사는 남침례신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Ph.D., 1986년)를 받았고, 이어서 취리히대학에서 신학박사학위(Th.D., 1991년)를 받았다. 현재는 ..

[2008-2] 마가복음 세미나(3): Christopher Bryan, A Preface to Mark

마가복음 세미나(2008.9.30) 담당교수: 김광수 교수 발표자: 양지웅(Ph.D., 구약학 2학기) Christopher Bryan, A Preface to Mark (1993), 126-70. ※저자인 Christopher Bryan은 영국성공회에 소속된 목사겸 교수로, 1983년 Exeter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미국 테네시 주의 스와니(Sewanee) 남부의 신학대학교에서 신약학을 ..

[2008-2] 마가복음 세미나(1): H.C. Kee, 새시대의 공동체(1977)

마가복음 세미나(2008.9.9) 담당교수: 김광수 교수 발표자: 양지웅(Ph.D. 구약학 2학기) H. C. 키, 「새 시대의 공동체: 마가복음 연구」(1977), 203-43. ※저자인 Howard Clark Kee는 보스턴 대학의 종교학 석좌 교수로, 「신약성서 이해」(Understanding the New Testament 5th ed.)라는 책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The Cambridge Compani..

[마가복음] The Prologue as the Interpretative Key to Mark's Gospel

Frank J. Matera, "The Prologue as the Interpretative Key to Mark's Gospel," in The Interpretation of Mark, edited by William R. Telford (Edinburgh: T&T Clark Ltd, 1995), 289-306. 본 소논문은 JSNT 34 (1988), 3-20에 실렸던 글이다. 저자는 마가복음의 서론에 대한 논의를 통해서, 서사적 읽기를 시도한다. 기존의 학자들이 1:15까지를 서론부분으로 ..

마가복음-예수 비유연구와 유추가능한 역사적 상황, 그리고 비유의 신학에 대하여

예수 비유 연구와 유추할 수 있는 역사적 상황, 그리고 신학에 대하여 1. 서론 마가복음은 다른 복음서에 비해서 그 분량도 짧고, 어투도 매우 서툴다고 알려져왔다. 이는 자료비평적 관점에서 볼 때, 공관복음서의 마가복음 우선설을 지지해주는 근거가 되기도 한다. 행동지향적인 마가복음 속에서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