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19일 금요일에 대전신학교에서 한국기독교학회(www.kacs.or.kr)가 주최한 제 36차 정기학술대회를 다녀왔습니다. 갑작스럽게 불어닥친 가을바람의 매서움에 맞서, 학문적 열기는 후끈거렸습니다. 한국신학계를 이끌고 있는 수많은 교수들을 보면서, 많은 도전을 받기도 했습니다. 동료들과 함께, (1) 김광수 교수의 "예수의 하나님의 나라 사역의 이해에 있어서 틀의 전환에 대한 평가"와 (2) 이형원 교수의 "한국 구약학회의 경향과 미래를 위한 제언"을 들었습니다. 이 두분 모두 침례신학대학교의 교수이기 때문에, 나름 의미가 깊은 시간이 되었습니다.
김광수 교수는 Marcus Borg를 중심으로 북미의 예수연구에서 근간을 둔 하나님 나라 이해에 대해서 평가하고 한국신학계와 비교를 합니다. 크게 세가지의 주제로 비교를 했는데, 첫째는 하나님의 나라가 그 본질에 있어서 인간과 세상의 치유와 회복을 위한 하나님의 구원활동이라는 역동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고, 둘째는 하나님의 나라가 실현되는 시기는 시작과 진행과 완성을 가지고 있는 진행형이라는 점이며, 셋째는 하나님의 나라의 실현 대상이 예수를 그리스도와 하나님의 아들로 고백하는 공동체(교회) 안에서 또한 그 공동체를 통해서 이 세계 속에서 실현되어야 한다는 공동체성의 강조였습니다. 첫번째와 두번째는 한국신학계와 크게 다르지 않지만, 마지막 세번째의 경우에 한국교계의 지나친 '개인적 기복화'에 치중했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신학의 공동체성, 이것이 내일의 과제가 될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비록 세계적인 학자들 모두를 언급하지 않았다는 지적도 받았지만, 신앙과 신학의 협연의 가능성이 보이는 탁월한 발제였다고 생각합니다.
이형원 교수는 객관적인 평가를 받았던 한국구약학회의 글들을 1980년대부터 90년대까지 약 300편 정리하면서, 한국구약학의 흐름을 분석한 결과를 제시했습니다. 분석에 따르면 역사비평적 접근에 의한 성서연구가 절반 가까이나 되었지만, 그럼에도불구하고 문학비평의 대두와 이에 따른 통합적 비평접근의 필요성을 제시했습니다. 한편, 목회적 관점에서 학문의 가용성을 평가하면서, 학문이 단지 상아탑의 전유물이 아니라, 교회를 섬기는 도구가 되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나름 잘쓴 논문이라고 생각하지만, 연이어서 날라오는 질문들은 하나없이 날카로왔고 의표를 찌르기에 부족함이 없었습니다. 많이 배우고 돌아가는 길에, 12시 이전에 집에 들어가기 위해서, 고속도로를 신나게 밟으면서 되씹어본 좋은 시간이었다고 생각합니다.
2007.10.19. 진실과열정
===============================================================
주제: Korean Theology: Past, Present and Future
장소: 대전신학대학교
일시: 2007년 10월19일(금)
회비: 전임 30000원 비전임 10000원
행사계획표
10월19일(금요일) | |||||
12:00~13:30 |
점심 및 접수 |
대전신학대학교 | |||
13:30~14:20 |
개회예배 |
한국교회음악회 주관 |
설교: 민경배 목사 | ||
14:20~14:30 |
Coffee Break 1 | ||||
주제 강연 14:30~15:30 |
|
사회 |
곽동순 박사(연세대 교수·한국교회음학회 회장) | ||
14:40~15:10 |
발표 |
하재은 박사(연세대 퇴임교수) 379-5566, 011-9702-5567 “Pop culture's influence in worship service and the need for theological foundations of church music in Korea” (예배에 미치는 대중문화의 영향과 한국 교회음악의 신학적 기반의 필요성) | |||
15:10-15:15 |
논찬 |
| |||
15:30~15:40 |
Coffee Break 2 | ||||
학회발표(1) 15:40~17:40 |
한국목회상담학회 |
이상복 박사(강남대) |
박사(연세대) | ||
한국문화신학회 |
손호현 박사(연세대) |
정승우 박사(연세대) |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김도일 박사(장신대) |
백은미 박사(이화여대) | |||
한국신약학회 |
김광수 박사(침신대) |
소기천 박사(장신대) | |||
한국교회음악회 |
강만희 박사(침신대) |
이문승 박사(서울신대) | |||
한국실천신학회 |
|
| |||
17:40~18:30 |
저 녁 식 사(만찬) | ||||
18:30~19:40 |
제18대 정기총회 | ||||
19:40~19:50 |
Coffee Break 3 | ||||
학회발표(2) 19:50~21:50 |
한국선교신학회 |
홍인식 박사(장신대) |
홍영기박사(교회성장연구소) | ||
한국구약학회 |
이형원 박사(침신대) |
임동원 박사(목원대) | |||
한국조직신학회 |
전현식 박사(연세대) |
신옥수 박사(장신대) | |||
한국여성신학회 |
김수연 박사(이화여대) |
김혜란 박사(한신대) | |||
한국기독교윤리학회 |
|
| |||
한국교회사학회 |
이정구 박사(성공회대) |
이정숙박사(횃불트리니티대) |
'Bible Study > 성서 연구 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석학(1): 고대의 해석으로서의 헤르메스와 어거스틴 (0) | 2008.03.12 |
---|---|
번역: 마커스 보그의 [처음으로 다시 읽는 성서] - 제 1 장 (0) | 2007.11.10 |
인터넷에서 찾은 참 좋은 성서연구 사이트들 (0) | 2007.10.04 |
역사는 수메르에서 시작되었다: 성서이해는 수메르에서 시작한다 (0) | 2007.08.24 |
자랑스러운 청년들과 함께! (0) | 2007.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