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ble Study/구약 성서

예언서 이해를 위한 지침서(by. 월터 카이저) 요약

진실과열정 2005. 8. 26. 17:41

예언서 이해를 위한 지침서(by. 월터 카이저)

요약: 양지웅



1: 해석학

1)예언서 해석은 살아계신 하나님께 집중하게 하라

-성경의 예언은 계시라는 큰 구도에서 읽어야 한다. 즉, 계시의 한 방법이다[15].

-6가지 특징: ①이방 민족들의 신탁들과 달리, 애매하지 않고 분명하게 예고한다. ②의도되지 않은 우연한 것이 아니라, 계획되고 의도된 예언이다. ③사건의 발생이전에 선포된 것이다. ④예언은 나중에 성취된다. ⑤성취이후에도 증거로서 유효하다. ⑥다른 예언들과 연결될 수 있다[16].1)

-성경의 예언분포: 구약의 경우 23,210절에 6,641절(28.5%), 신약의 경우 7,914절에 1,711절(21.5%), 전체적으로 31,124절 중에 8,352절(27%)이다[17].2)

-예언은 역사적인 상황가운데 주어진다. 예언은 진공상태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헬라의 신탁은 정반대이다. 즉, 헬라의 신탁은 공간이나 시간과 무관한 방식으로 예언들을 공표한다는 것이다[23].

-예언이란, 시공 안에서의 하나님의 미래적인 행위들(acts)에 대한 확신에 기초한 행동(action)에의 요청이다[26].

2)모든 사람이 미래에 대해 말하는 모든 것을 믿어서는 안된다

-거짓 예언자를 말하는 4가지 표징(예레미야 23장): ①비도덕적인 생활양식(13-14), ②대중을 만족케 해 주는 자들(16-17; 미 3:5), ③자신의 생각과 하나님의 계시를 구분하지 못함(28-29), ④표절(30,36)[28-29].

-선지자에 대한 5가지 판단 기준(신 13:1-5; 18:14-22): ①이스라엘 민족의 일원(18:18):발람 예외, ②여호와의 이름을 말함(18:19): 예외로는 거짓으로 말한 하나냐와 유다로부터 온 하나님의 사람(왕상 13), ③가깝고 먼 미래를 예측하는 현실적인 성취여부(18:22)3), ④이적과 기사를 행함(13:1,2): 사무엘(삼상 12:16-18)과 모세(출 4:1-9,21), ⑤이전 계시와의 일관성(13:2-5).  한편, 이는 미가야(왕상 22)와 예레미야(28)에서 부분적으로 발견될 수 있다.[31-34]

-예언 비성취와 예언의 삼중분류: ①무조건적 성취: 구원에 있어서 중심적(창 8:21,22; 12:2-3; 15:9-21[하나님에 의한 “언약을 쪼갠다”]; 삼하 7:8-16; 렘 31:31-34; 사 65:17-19; 66:22-24), ②조건적 성취: 대부분의 예언(레 26; 신 28; 요나의 예언), ③계속적 성취: 조건적 유형의 변형(겔 26:7-14; 나봇의 토지에 던져진 요람)  [35-39]

3) 하나님의 진리는 인간의 언어로 주어짐을 인식하라.

-특별히 부름받은 사람들은 꿈이나 이상, 그리고 언어적인 대화, 상징적 행동들, 그리고 내적인 연상 등을 통해 하나님과의 내적인 협의에 들어갔다[44].

-예언자들은 일차적으로 과거를(환경) 받아들인 시대의 인물이었으나, 이차적으로 자주 과거와 현재를 성령의 인도하심 아래 아직 보지 못한 미래와 연결시키는 인물이기도 했다. 그들에게는 하나님의 위대한 약속-계획의 관념이 있었던 것이다[45]. 그래서, 미래는 상징으로 나타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세가지 상징[47-53]

①설명된 상징:

    

상징

설명

인용성구

정금머리

은팔들과 가슴

산에서 뜨인 돌

4번째 짐승(왕국)의 열뿔

두뿔 가진 수양

털이 많은 수염소

큰 뿔

두 감람나무

에바 안에 있는 여인

일곱 별

일곱 금 촛대

일곱 등불

향이 가득한 대접

큰 용

짐승의 열뿔

여자

느부갓네살

메데-바사

하나님 나라

열왕

메데-바사의 왕들

헬라의 왕

헬라의 첫 왕

여호수아, 스룹바벨

땅의 사악함

교회의 사자들

아시아의 일곱 교회

하나님의 일곱 영

성도들의 기도

사탄, 악마

열왕

큰 성

단 2:37-38

단 2:39

단 2:44-45

단 7:24

단 8:20

단 8:21

단 8:21

슥 4:14

슥 5:6

계 1:20

계 1:20

계 4:5

계 5:8

계 12:9

계 17:12

계 17:18

②구약성경의 심상이 병행되어 있는 상징: 특히 요엘의 이미지(피와 불과 연기 기둥[2:30], 해가 어두워지고 달이 핏빛같이[2:31], 만국을 모아 심판함[3:2], 보습을 쳐서 칼을 만들고 낫을 쳐서 창을 만듦[3:10], 포도주를 떨어뜨리는 산[3:18])는 이후의 성경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요한계시록의 상징

인용구약 성경

생명나무(2:7; 22:2)

감추었던 만나(2:17)

철장(2:29)

새벽별(2:28)

다윗의 열쇠(3:7)

생물들(4:7-9)

네명의 말탄 사람(6:1-8)

위대한 천사(10장)

첫째 짐승(13:1-10)

둘째 짐승(13:11-18)

창 2:9; 3:24

민 11:7-9

시 2:9

단 12:3

사 22:22

겔 1:5-14

슥 1:8-11

슥 1:11

단 7:2-7

단 7:2-7

③일반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상징: 지역적인 관습이나 당대의 문화에 이유가 있다.

    

요한계시록의 상징

인용구약 성경

흰돌

기둥

24장로

일곱인

두 증인

해를 입은 여자

어린양의 혼인

계 2:17

계 3:12

계 4:4, 10-11

계 5:1, 6장, 8:1

계 11:3-12

계 12장

계19:7-9

-성경의 예언적인 부분의 상징들은 메시지를 들었던 최초의 청중에게는 실제적이었다. 원천은 구약성경이고, 다음으로 당대의 문학적인 상징이다. 그 다음으로 이교의 신화론적 비교들과 당시의 묵시적 작품들이다[50].

4) 미래에 도달하기 위해 과거로 돌아가라

-예언적인 사고의 모든 다양한 형태들 중 그 의미를 파악하는 데 있어서, 과거의 사건과 인물 또는 표현들만큼 일반적으로 도움이 되는 것은 거의 없다[55].

-Girdlestone의 7가지 과거의 사건[56-64]: ①창조(창 1 // 시 66:6,9; 사 65:17; 66:22), ②낙원(창 2:8 // 사 51:3; 슥 1:17), ③홍수(창 6-8 // 사 54:9-10), ④소돔과 고모라(창 18-19; 신 29:33 // 사 1:9-10; 렘 23:14; 겔 16:49-50; 시 11:6; 겔 38:22), ⑤애굽에서의 노예(신 28:27,68 // 호 8:13; 9:3,6; 11:5; 암 4:10-11), ⑥출애굽(출 15:2 // 사 11:15; 11:12; 호 2;15; 슥 10:10-11), ⑦광야 방황(사 4:5-6; 35:6,7; 43:19)

-하나님께서 미래에 행하실 일을 묘사하기 위해서 선지자들과 신양성경은 그 기본적인 어휘와 이미지로 오경에 나오는 많은 경험에 의존하고 있음이 분명하다. 우리가 과거에 있었던 하나님의 사역과 말씀을 이해하는 만큼 우리는 미래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64].

5) 때때로 그건 사정 여하에 달렸다는 사실을 기억하라: 조건적인 예언 범주의 문제.

-출 9:15-16; 렘 42:10-16을 통해서, 하나님의 표준, 그분의 본성, 그분의 인격이 변하는 것이 아님을 말해준다. 살아있는 인격으로서 하나님은 자신이 제시하신 의의 기준을 인간이 받아들이거나 거절하는 변화를 보일 때 변하실 수 있으며 변화하신다는 것이다[68].

-조건적인 예언을 구분하기: ①시간과 공간상 매우 임박한 일을 제시하고, ②그 선지자의 당대인들 편에서의 순종이나 회개 같은 행위로 반응할 수 있다면 그 예언은 조건적인 예언이다[72]. 예를 들면, 요나(욘 3:4; 1:2; 3:8), 아합(왕상 21:19,27,29), 에스겔(33:13-16), 예레미야(18:7-10).

-그렇다면, 하나님은 줏대없는 분이신가? 모든 약속에의 ‘참여’는 신앙이라는 행동에 의한 것임을 사실이지만 그러나 이것이 메시아나 복음 또는 땅의 약속의 ‘제공(창 22:16; 시 105:8; 히 6:17-18)’과 혼동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예언의 지연도 있다(왕하 22:19-20; 미 3:12→렘 26:18-19). 모든 예언은 조건적인 것은 아니다(시 11:4).

6) 선지자들의 준비와 기술로부터 얻는 바가 있다.

-선지자들은 그 직위를 무엇보다도 하나님의 부르심에 대한 강한 소명 의식 가운데 시작했다[78]. 그들이 자원한 것 보다는 하나님에 의한 부름이 강력했다. 아모스에게 이런 모습이 잘 나타난다.

-אי󰔩󰗺에 대하여: 초기에 학자들이 ‘부글부글 끓다. 뒹굴다(to bubble forth, writhe)'란 의미를 지닌 아랍말과 연결시키면서, 황홀경의 체험과 예술적인 광란에 가까운 상태에서 임한 계시를 예언자의 주된 특징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주장은 언어분석결과 합당치 않다[83].

-하나님 말씀이 어떻게 전해지는가: ①선지자가 일상적인 생활을 하고 있는 동안 주어진다(이사야가 궁정을 걸어가고 있을 때), ②이상(요셉, 민 12:6), ③하나님과의 직접적인 대면(민 12:7)[84].

-꿈: 꿈은 거의 모든 사람이 꾸지만, 이상은 특별한 사람들에게만 주어진다[84].

-다양한 표현들: 예언적 환희(“여호와의 말씀이 내게 임했다!”), 음악과 연결(삼상 10:5; 왕하 3:15)[85].

-인간의 노력: 선지자 무리들의 등장(왕하 2:12; 6:1-2; 4:38,42-43; 삼상 19:18-20), 그들은 이스라엘의 예언적 사명에 있어 단지 수동적인 역할 그 이상을 수행했던 사람들이다[87].

-선지자직은 몇몇 현대 학자들이 추측하듯이 제사장직의 타락과 이스라엘의 배교에 대항하기 위해 후기에 계발된 것이 아니다(신 18;15-22). 그들은 율법의 설교자들이다. 예언은 ‘예고’(fore-telling) 그 이상이다. 예언은 주로 ‘설명’(forth-telling)이다. 그들이 전했던 메시지의 2/3는 하나님의 말씀에 비추어 실패한 백성들의 현실을 설명하는 것이었다[87].

-열방을 향한 예언: 예언자들의 저작 가운데 많은 분량이 말하자면 유일하신 참 하나님과 그분의 의의 표준으로 돌이켜 도덕성을 회복하라는 이방 지역을 향한 하나님의 도전에 할애되어 있다(사 13-23; 렘 46-51; 겔 25-32; 암 1-2; 욘; 나훔; 오바댜).


2:성경 신학

7) 예언연구 방법을 계발하라.

-방법론: ①연구중인 책이나 본문의 상대적인 연대를 결정하라: 예언은 역사적 경고 그 이상이다. 즉, 당대의 역사는 여러 시대를 향한 하나님의 계획과 연결되어야 한다. 예언과 역사는 서로가 서로에게 속한다. 그러나, 역사가 우위를 차지해서는 안된다[96]. ②단락을 나누면서 주제의 변화를 조심스럽게 살피라. 논리 가운데 어디에 등장하는가? ③각각의 구분안에서 다른 토픽이나 주제 또는 테마를 찾아보라. ④단락에서 주제 문장을 찾아보라. ⑤다른 성경의 인용이나 암시라는 통찰력을 가지고 읽으라. ⑥본문에서 가장 중요한 단어를 연구하라(빈도, 번역, 문맥에서의 기능, 범주로 분류, 최고의 의미). 당면한 주제에 대하여 각각의 단락이 어떤 기능을 하고 있는가? ⑦교훈이 성경의 가르침, 특별히 나중에 쓰여진 성경에서 발견되는 것과 연결될 수 있는가?[95-101]

-기초가 되는 본문: 아브라함에게 하신 약속(창12), 12지파에 대한 야곱의 축복(창 49), 순종과 불순종의 결과(레 26; 신 28), 다윗왕국의 약속(삼하 7), 임마누엘(사 9), 황폐함과 천년왕국(사 24), 고난받는 종(사 52:13-53:12), 새하늘과 새땅(사 65-66), 새언약(렘 31:31-34), 이스라엘의 회복(겔 37), 이어지는 제국과 하나님의 왕국(단 2,7), 성령의 오심과 심판(요 2:28-3:21), 다윗의 장막의 회복(암 9:11-15), 시온에 모일 열방(미 4), 감람산의 메시야 재림(슥 14), 종말(마 24-25), 이스라엘의 접목(롬 9-11), 몸의 부활(고전 15), 몸의 중간 상태(고후 5:1-10), 이방인과 유대인의 연합(엡 2:11-3:11), 적그리스도(살후 2), 천년왕국(계 20:1-10), 영원한 나라(계 21-22).

-신비적인 풍유와 획일적인인 문자주의는 모두 거부해야 한다[103].

8) 하나님의 약속-계획에 집중하라.

-메시야는 모든 예언의 중심이 되는 초점이다[107].

-약속(promise): “미래에 대해서 다른 사람에게 한 천명이나 확신, 어떤 특수한 행동을 하거나 안하겠다고 말하는 것. 또는 관계된 사람의 이익과 즐거움을 위해 대개 좋은 의미에서 어떤 특별한 것을 주겠다고 하는 것”(Oxford English Dictionary). 구약에서는 ‘말씀(word)', '서약(oath)', '축복(blessing)'으로 나타나고 있다[108].

-하나님의 약속: ①하나님께서 그들의 하나님이 되실 것이다. ②그들은 하나님의 백성이 될 것이다. ③하나님께서 그 백성 가운데 거하실 것이다[109].

󰊱족장 이전 시대의 복(창 1-11): 여자의 씨(3:15),

󰊲족장에게 주신 삼중의 약속(창 12-50, 홀로 지나가시며 의무의 일방성을 나타내심[15:9-21]): ‘땅’(12:7; 15:8; 13:17; 17:8; 24:7; 26:3-5; 28:13,15; 35:12; 48:4; 50:24), 집합적 단수로서의 ‘씨’(3:15[메시야]; 12:7; 15:4; 21:12; 22:16-18; 26:3-4,24; 28:13-14; 35:11-12), 복을 받는 ‘열국’(12:3; 18:18; 22:17-18; 26:4; 28:14),

󰊳율법의 기능(17:1; 26:5; 출 2:23-25; 6:2-8; 19:3-8; 20:2),

󰊴다윗 언약(삼하 7:8ff; 시 110:1; 2:8),

󰊵이사야를 통한 성령의 선물(32:15; 44:3; 욜 2:28-29; 사 59:19-21; 61:1),

󰊶예레미야의 새언약(31:31-34),

󰊷신약성경의 계승과 확장: 하나님은 처음부터 끝까지 하나의 계획을 가지고 계셨다(행 26:6-7). 약속은 예언의 전체구도와 전체 성경 말씀에 있어서 중앙부장식이다[117].

아브라함

행 7:17; 롬 4:13-21; 9:8-9; 갈 3:14-29; 4:23-28; 히 6:12-17; 7:6; 9:15; 10:23; 11:9-17

족장과 다윗

행 26:6; 롬 15:8

모세

고후 7:1; 엡 6:2; 히 4:1

다윗

행 13:23; 고후 7:1

선지자

롬 1:2

이방인의 참여

갈 3:8,14,29

죽은자의 부활

행 26:6-8; 딤후 1:1; 히 9:15; 10:36; 벧후 3:4,9; 요일 2:25

성령

눅 24:49; 행 1:4; 2:33,39; 갈 3:14

죄로부터 구원

롬 4:2-5,9-10; 약 2:21-23

메시야

행 13:23; 갈 3:22

9) 출연자가 누구인지 알기 원한다면 당신의 프로그램을 점검해 보라.

①םיוֹגּ과 ם󰘞의 사용용례: ם󰘞은 이스라엘(하나님의 백성), םיוֹגּ은 열방을 가리킨다. 즉, 구별이 필요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신 7:7; 사 41:8).

②아브라함과의 “영원한 언약”(창 17:7,8; 15:18-20): 이스라엘의 ‘하나의 나라’는 여전히 유효하다(렘 31:35-37). 언약은 오직 하나님께서 참여하셨다[124]. 아브라함의 약속은 조건적인 것이 아니라, 수신자의 참여에 부과된 것 뿐이다(창 12:1-3; 17:1-2,9-14; 22:15-18; 26:4-5).

③이스라엘의 약속은 성경에서 완전히 실현된 적은 없다: 성취 암시 본문(수 21:43-45; 23:14-15; 느 9:8), 남아있음(민 34:2-12; 수 13:1-7; 삿 3:1-4), 다윗시대를 보기도 하지만(창 15:18; 출 23:31; 민 13:1-2,21; 34:1-12; 신 11:24; 수 15:1-12; 왕하 14:25; 사 27:12; 겔 47:15-20; 왕상 8:65), 블레셋과 두로와 시돈은 포함되지 않았다(왕상 4:7-19,21; 대하 9:26).

④그렇다고, 이를 이원론적인 해석으로 나가서는 안된다[127]: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유대인과 이방인은 하나이다. 그리스도의 몸으로 들어온 사람들로 새롭게 재정의되는 것이다. 삼중형식은 교회시대에 계속된다(고후 6:16; 히 8:10; 계 21:3).

⑤이스라엘과 열방과의 관계는 롬 9-11장에서 살펴보아야 한다[128-131]: 이스라엘은 연결고리이다(11:11). 이스라엘의 충만한 가입은 많은 유익이 된다(11:12). 예수님의 언급(눅 21:24-26)도 이를 말해준다. 로마서의 구약인용은(사 59:20-21; 렘 31:33-34) 회복의 배경이며, 결국 롬 11:26은 아브라함-다윗-새언약이 계속점임을 보여준다.

10) 경기의 몇가지 기본적인 경기방식에 친숙하라(종말론: 이단에 빠지지 않으려면).

①명확한 종말의식은 하나님의 의도가 아니다. ‘이 세대’와 ‘오는 세대’의 공존은 신약성경에서 30번 정도 언급되고 있다(막 10:30; 눅 20:34-35)[134].

②저자가 말하는 두세대: 세가지 부활(고전 15:22-26)

                  (마 12:28)            오는 세대

    

세대

천년왕국

영원

창조

그리스도의

  부활

그리스도의 

   재림

백보좌

대심판

 

 

신자들의 부활

불신자들의 부활

③‘총체적 예언’, ‘예언적 단축법’, ‘단일한 의미와 집합적 또는 단체적인 연대성을 지닌 예언’: 복합적인 사건의 전체에 적용되는 동시에 그 부분들 중 몇몇에 적용되는 예언[139]4) → 결국, 말 4:5-6의 예언은 가까운 면(요한, 마 11:14)과 먼 면(계 11장)이 함께 있는 것이다(내적 연관). 따라서 요엘 2:28-32도 사도행전의 첫면이 있고(2:16), 장차올 두 번째 면이 있는 것이다. 적그리스도(이미 왔으나[요일 2:18], 장차 또 온다).


3. 실천신학

11) 하나님께서 평이하게 만드신 것을 수수께끼로 만들지 말라.

①성경예언은 비밀스러운 ‘이중의미’의 성격의 것이 아니다. “계시는 이해할 수 있어야 하며 그렇지 않다면, 그것은 전혀 계시라고 할 수 없다”[149] 고전 2:14의 말씀은 ‘이중의미’를 지지하는 것이 아니다. ②만일 ‘이중의미’가 있다면, 권위있는 해석이 매우 어려우며, ③경계를 설정할 수도 없을 것이다. ④결국, 언어의 정상적인 패턴 아래에서 예언의 의미를 부여해야 할 것이다. ⑤그러므로, 교리를 세우려고 ‘이중의미’의 방법이 사용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⑥그런데, 신약의 저자들이 바로 이러한 ‘이중의미’의 해석자들이 아니었는가? ‘지금’과 ‘아직은 아닌’을 설명하기위하여 신약저자들이 ‘이중의미’를 사용했다고 하지만, 그들은 미드라쉬나 페쉐르 적인 방법론자들은 아니었다(마 9:10-13; 12:1-2,7 // 호 6:6). ⑦저자인 하나님께서도 인간에게 말씀하실 때는 신비롭게 하고 혼란하게 하시기 위함이 아니라, 가르치고 책망하고 위로하시기 위해 말씀을 주신 것이다.

12) 본문의 명료성을 과소평가하지 말라.

①성경의 저자들이 받지 않은 것이면, 그 무엇이든지 간에 그것은 그들이나 우리 모두에게 계시의 문제가 아니다.

②묵시문학같은 경우에서도(다니엘), 저자들은 자신이 충분히 알고 있는 것을 기록한 사람들이다.

③가야바의 경우(요 11:49-52)는 요한에 의한 야유와 역설, 그리고 의도적인 과장을 느끼도록 한다.

④예언의 말씀은 정확하게 이해되기만 하면, 그 자체가 능력과 위엄을 지나고 있다[168].


1) Robert B. Girdlestione, The Grammar of Prophecy: A Systematic Guide to Biblical Prophecy(Grand Rapids: Kregel, 1955), p.1.


2) J.Barton Payne, Encyclopedia of Biblical Prophecy: The Complete Guide to Scriptural Predictions and Their Fulfillment(New York: Harper and Row, 1973), pp. 631-82.


3) 그렇지 않은 예언들의 실례: ①느부갓네살에 의한 두로 파괴 예언(겔 26:17-20), ②니느웨 멸망에 대한 요나의 예언(욘 3:4), ③나봇 살해에 대하여 아합왕에게 한 엘리야의 예언(왕상 21:17-29), ④다메섹 멸망에 대한 이사야의 예언(사 7:1[성읍(רי󰘟󰗭)과 폐허(ר󰘟󰗱)의 언어유희])


4) Willis J. Beecher, The Prophets and the Promise(New York: Crowell, 1905; Grand Rapids: Baker, 1963), p. 130. 재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