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t messianic expectation is strikingly absent from the literature of the Maccabean period and appears to have been in abeyance. It reappears in the first century bce, in the Psalms of Solomon and the Dead Sea Scrolls. ... It is likely that opposition to the Hasmoneans also played a part in the messianic expectations of the scrolls."
J. J. Collins, the Apocalyptic Imagination, 158.
놀랍도록 현실적인 분석이다.
"The apocalyptic ideas put the theology of the sect in a cosmic context. The claim of divine revelation underpins that theology with supernatural certainty. ... In this case, the priestly theology of the sect and its apocalyptic conviction of imminent change fitted well together to produce a community that withdrew from society to seek heaven on earth in the wilderness on Judea."
J. J. Collins, Apocalyptic Imagination, 175f.
쿰란공동체는 마카비로 시작된 하스모니안왕조의 순결상실에 실망하여 예루살렘을 떠나 유다광야로 스스로 들어간 종교적 분파이다. 묵시문학연구의 권위자인 콜린스박사는 쿰란의 특징을 요약하면서, 쿰란은 정치적 이념보다는 성서해석적인 면에 실천적 공동체였으며, 그렇기에 비록 묵시라는 것이 그들에게 특별할 정도로 영향을 끼치지는 않았지만, 그럼에도 자신들이 우주적/초자연적 세계에서 최후의 승리를 얻을 것이라는 생각(신학)을 가지고 있었다고 정리했다.
성서사회학자들은 '분파/파벌'의 사회학적 특징들을 조사한바가 있다. 그들은 물리적 세계가 협소하기 때문에, 정신적으로나 이념적으로 확장된 세계를 추구한다는 것이다. 굴속에 숨은 소수의 엘리트들은 고대서아시아의 오랜 전승들을 거부하지 않았고, 이원론적인 세계관 속에서 자신들이 천사들과 교제하는 빛의 자녀들로 영원한 삶을 확신했다. (많은 부분에서 차이를 보이지만, 지금 청와대의 하숙인이 자신의 협소한 물리적 세계를 우주의 기운과 용과 길라임이란 정신적/종교적 개념으로 대리만족을 하려고 했던 것으로 보아, 참된 지도자는 지금의 자신을 세웠던 '섹트'성을 스스로 깨는 부단한 노력을 해야된다고 생각한다.)
'Bible Study > 구약 성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 국민은 즐거워하리라 (0) | 2019.11.23 |
---|---|
<리더를 위한 목회서신> (0) | 2019.11.22 |
Israel Finkelstein, The Forgotten Kingdom: 2013 (0) | 2019.11.16 |
"밥은 생각보다 무겁다" (0) | 2019.11.09 |
박효신의 야생화 때문이었다 (0) | 2019.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