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리주의의 환상
승리주의의 환상
"But Israel's worship ritual, though elaborate, did not occupy itself with creation. In the creed which the Israelite repeated upon bringing his first fruits to the temple priest he did not, as might be expected, recall God as creator, but rather as the deliverer who brought the people out of Egypt (Dt. 26:5ff.). None of the festivals or rituals in Israel was taken up with the creation idea. This fact has been interpreted sometimes to mean that in Israel history was all-important, whereas in surrounding pagan peoples nature rather than history was the active sphere of the gods." (Elmer A. Martens, God's Design [2nd ed.; 1994], 91.)
엘머 마르텐스는, 확실이 이 책에서 '집착'이 무엇인지 보여주고 있다. 바로 '구속사'에 대한 집착이다. 그는 하나님에 대한 인식론을 언급하면서, 고대서아시아의 신인식과 고대이스라엘의 신인식을 차별화하고 있다. 바로 '창조'와 관련해서 차이가 있다고 말한다. 즉, 고대신화인 '에누마 엘리쉬'를 언급하며, 고대서아시아에는 단순히 자연을 따라 해마다 반복되는 연례행사만 있을 뿐, 위에서 언급된 것처럼 고대이스라엘의 고상한 역사의식이 전무하다는 평가이다. 이는 반대로, '고대이스라엘에서, 예배와 관련한 신인식론의 구조안에 <구속>이 있을 뿐, <창조>는 별로 관련이 없다'라는 선언이다. 조금 오싹한 부분이 드는 대목이다. 신학자가 '다름'에 집착할 때, 일종의 '승리주의'의 모습을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사실 창세기 1장의 모티프가 되는 '에누마 엘리쉬'의 최종 결과는 마르둑이 자신의 성전을 건축하는 것이고, 그렇기에 창세기 1장의 세계는 "하나님의 성전으로서의 우주"의 제사장적 표현에 다름 아니다(John H. Walton, the Lost World of Genesis one). 더 나아가 브루그만은 창 1:1-2:4과 출 25-31장에서 똑같이 일곱번 말씀하는 하나님을 언급하면서, 오히려 이스라엘은 "창조 안에서 예배의 진정한 목소리(counter-experience)를 낼 수 있었다"라고 지적한다(Walter Brueggemann, Theology of the Old Testament, 533).
'승리주의'의 위험성은, 고대인들(과 오늘날 제2, 제3세계)의 자인식을 타자화한다는데 있다. 그 핵심에 "구속사"가 자리하고 있어서, 최근 많은 신학자들은 자성의 연구를 활발하게 펴내고 있다. 그 중에 '창조신학의 재조명'을 들 수 있다. 토라와 창조를 논하면서 프레다임은 이렇게 주장한다: "[T]he existence of much of this legal material in the surrounding cultures is testimony to God's work as Creator among these peoples. one result of this divine activity was the development of law for the ordering and preservation of human life, and this divine creative activity occurred prior to and independent of God's redemptive work. ... This points is further evidence for the fact that the law does not grow out of redemption but is brought more clearly into the light of day for Israel as the law of God for the sake of creation." (Terence E. Fretheim, God and World in the Old Testament, 145).
고대이스라엘의 신앙전승은 '역사'에 목매이지 않았다. 오히려 왕실의 서기관들이나 포로후기의 편집자들이면 모를까(Richard Elliott Friedman, The Bible with Sources Revealed)! 성서학자들이 역사학을 충분히 공부하지 않은 상태에서, '내러티브를 역사로 치환'하는 '승리주의'에서 자유하지 못하는 것이 결정적 이유이다. (마르텐스가 90페이지 각주2번에서, 모세가 11개의 작은 토판[톨레돗]으로 창세기를 기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하는 대목에서....)